열화상카메라로 거울·유리·물체를 촬영하면 실제로 무엇의 온도가 측정될까?
열화상카메라(적외선 카메라)는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복사에너지를 감지해 온도를 표시합니다. 하지만 모든 물체가 적외선을 동일하게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반사율·투과율·방사율에 따라 측정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거울, 유리, 물, 커피처럼 반사 및 투과 특성이 강한 재질은 “보이는 것과 실제 측정되는 것”이 다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열화상카메라를 사용할 때 자주 묻는 질문인 거울·유리컵·물·커피 촬영 시 실제로 어떤 온도가 측정되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1. 열화상카메라로 거울을 촬영하면 나타나는 온도는?
거울의 온도가 아니라, 거울에 비친 물체의 온도가 측정됩니다.
거울은 적외선을 매우 잘 반사하는 재질입니다. 즉, 거울 자체는 열을 거의 방출하지 않고, 주변 환경에서 온 적외선을 그대로 카메라에 반사합니다.
따라서 열화상카메라로 거울을 찍으면 아래와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 거울의 실제 온도는 거의 보이지 않음
- 카메라 자체의 열, 촬영자의 체온, 뒤쪽 배경 등이 화면에 나타남
- 열화상 거울처럼 “내 열영상이 비친 모습”을 보게 됨
핵심 포인트
- 거울 = 방사율 낮음 + 반사율 높음
- 측정값 = 반사된 외부 물체의 적외선
빔포밍(Beamforming) 완벽 가이드: 소리와 전파를 조종하는 기술
여러 개의 마이크나 안테나를 사용해 특정 방향의 신호만 선택적으로 강조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이것이 바로 빔포밍(Beamforming) 기술입니다. 음향카메라, 5G 통신, 레이더, 의료 초음
dylomel.tistory.com
2. 유리컵을 촬영하면 유리 온도? 물의 온도? 배경 온도?
유리는 적외선을 투과, 반사, 방출 모두 하기 때문에 상황별로 측정값이 매우 다르게 나타납니다.
2-1. 유리컵 + 투명한 물(정수물) 촬영 시
결론: 대부분 유리 표면 온도 또는 반사된 주변 환경 온도가 표시됩니다.
왜냐하면:
- 물은 열화상카메라가 사용하는 장파 적외선(8~14µm)을 거의 투과하지 않음
- 물 자체가 적외선을 흡수해버려 내부 온도가 직접 보이지 않음
- 유리는 적외선 반사·투과가 섞여 있어 주변 온도 영향을 크게 받음
따라서 카메라는 아래 신호 중 우세한 값을 보여줍니다.
- 유리 표면 자체의 온도
- 유리에 반사된 주변 환경
- (극히 일부) 물 표면에서 방출된 열
즉, 투명한 물의 실제 온도는 거의 측정되지 않습니다.
2-2. 유리컵 + 불투명한 커피(라떼·초코) 촬영 시
커피 표면의 실제 온도가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됩니다.
- 커피, 우유, 초코 등은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
- 투과가 거의 없어 배경 영향이 사라짐
- 물과 달리 표면 온도가 카메라에 직접 전달됨
따라서 뜨거운 아메리카노·라떼·핫초코는
표면 온도 = 실제 음료 온도에 가까운 값으로 표시됩니다.
3. 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 (방사율·투과율 원리)
열화상카메라의 온도 측정 정확도는 방사율(emissivity) 에 좌우됩니다.
| 거울·금속 | 방사율 낮음 / 반사율 높음 | 주변 온도 반사, 자체 온도 측정 어려움 |
| 유리 | 방사율 높지만 반사·투과 혼재 | 표면·반사·배경 영향 혼합 |
| 물 | IR 투과 거의 없음 | 물 자체 온도 측정 어려움 |
| 커피·우유 | 불투명·IR 흡수 높음 | 표면 온도 정확하게 측정 |
즉, 방사율이 낮으면 반사 영향이 크고, 방사율이 높고 투과가 낮으면 실제 온도가 잘 측정됩니다.
- 거울 촬영 → 거울 온도가 아니라 반사된 카메라·사람·환경의 온도가 표시된다.
- 유리컵 + 투명한 물 → 유리표면·반사된 배경 온도 위주로 측정된다. 물 온도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 유리컵 + 불투명한 커피 → 커피 표면 온도가 실제 온도에 가깝게 표시된다.
- 핵심은 방사율과 투과율. 반사체는 반사된 열을, 불투명체는 표면 온도를 보여준다.